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josolha

Open Session In View(OSIV) 본문

Spring

Open Session In View(OSIV)

josolha 2023. 12. 16. 00:37

 

OSIV

OSIV(Open Session In View)는 JPA(Java Persistence API)와 Hibernate에서 사용되는 중요한 개념이다.

이 패턴은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데이터베이스와의 세션을 뷰까지 열어두는 방식을 말한다.

이를 통해, 데이터베이스 세션과 영속성 컨텍스트가 HTTP 요청이 시작될 때 열리고, 응답이 완료될 때까지 지속된다.

 

JPA에서는 OEIV(Open EntityManager In View), 하이버네이트에선 OSIV(Open Session In View)라고 한다.

하지만 관례상 둘 다 OSIV로 부른다.

 

스프링에서는 OSIV가 기본적으로 켜져있다.

(spring.jpa.open-in-view : true )

따라서 기본값을 뿌리면서 애플리케이션 시작 시점에 warn 로그를 남긴다.


OSIV ON

OSIV 전략은 트랜잭션 시작처럼 최초 데이터베이스 커넥션 시작 시점부터 API 응답이 끝날 때 까지 영속성 컨텍스트와 데이터베이스 커넥션을 유지한다.

그래서 지금까지 View Template이나 API 컨트롤러에서 지연 로딩이 가능하다.
지연 로딩은 영속성 컨텍스트가 살아있어야 가능하고, 영속성 컨텍스트는 기본적으로 데이터베이스 커넥션 을 유지한다.

이것 자체가 큰 장점이다.

그런데 이 전략은 너무 오랜시간동안 데이터베이스 커넥션 리소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실시간 트래픽이 중 요한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커넥션이 모자랄 수 있다.

이것은 결국 장애로 이어진다.
예를 들어서 컨트롤러에서 외부 API를 호출하면 외부 API 대기 시간 만큼 커넥션 리소스를 반환하지 못하고, 유지해야 한다.


OSIV OFF

spring.jpa.open-in-view: false -> OSIV 종료

 

OSIV를 끄면 트랜잭션을 종료할 때 영속성 컨텍스트를 닫고, 데이터베이스 커넥션도 반환한다. 따라서 커 넥션 리소스를 낭비하지 않는다.
OSIV
를 끄면 모든 지연로딩을 트랜잭션 안에서 처리해야 한다. 따라서 지금까지 작성한 많은 지연 로딩 코 드를 트랜잭션 안으로 넣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view template에서 지연로딩이 동작하지 않는다. 결론적으로 트랜잭션이 끝나기 전에 지연 로딩을 강제로 호출해 두어야 한다.


 

커멘드와 쿼리 분리

실무에서 OSIV를 끈 상태로 복잡성을 관리하는 좋은 방법이 있다. 바로 CommandQuery를 분리하는 것이다.
(참고: https://en.wikipedia.org/wiki/Command–query_separation)

 

보통 비즈니스 로직은 특정 엔티티 몇 개를 등록하거나 수정하는 것이므로 성능이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런데 복잡한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쿼리는 화면에 맞추어 성능을 최적화 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그 복 잡성에 비해 핵심 비즈니스에 큰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크고 복잡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한다면, 이 둘의 관심사를 명확하게 분리하는 선택은 유지보수 관 점에서 충분히 의미 있다.

단순하게 설명해서 다음처럼 분리하는 것이다.

  • OrderService
    • OrderService: 핵심 비즈니스 로직
    • OrderQueryService: 화면이나 API에 맞춘 서비스 (주로 읽기 전용 트랜잭션 사용)

보통 서비스 계층에서 트랜잭션을 유지한다.

두 서비스 모두 트랜잭션을 유지하면서 지연 로딩을 사용할 수 있다.

 

*(커넥션을 많이 사용하는 API의 경우 OSIV를 끄고, 아닌 경우 OSIV를 키자)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JUnit  (0) 2024.01.23
CommandLineRunner , ApplicationRunner, @Postconstruct  (1) 2024.01.19
@ReponseBody,@RestController,ResonseEntity  (0) 2023.12.14
JPA의 N+1 문제와 해결  (0) 2023.12.08
Spring MVC에서 Consumes와 Produces  (0) 2023.1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