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Spring (15)
josolha
기획 & 프론트 &백앤드 부족했던 점1.기획너무 거대한 서비스짧은 기간과 짧은 서비스 제작 이후 추가적인 서비스를 붙이기MVP 개발 필요함.정확한 개발 기간과 정확한 서비스 기능 제작 필요.지라 사용 문제"한번 사용했다" 라는거에 의미를 가진다면 성공"잘 활용했냐"는 매우 실패개인적으로 노션을 사용했다면 더 편했을꺼 같음.사용한다고 결정 한다면 적극적으로 모두 사전 지식 습득 후 활용을 해야겠다.ex) 정해진 요일마다 하나씩 기능 설명하기 등등.. 시간을 갖는 것도 좋을 듯하다.2.프론트도망과 인원 부족으로 인한 문제이후 진행할 프로젝트 좀 더 책임감과 흥미를 갖도록 진행이 필요.백엔드와 소통 부족카카오톡 보단 슬랙을 통해 좀 더 기술적으로 대화 할 수 있는 플랫폼을 활용한다.거시적으로 상호 작용을 빠르..

TDD에 대한 간단한 정리 테스트 주도 개발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단순하게 표현하자면 테스트를 먼저 설계 및 구축 후 테스트를 통과할 수 있는 코드를 짜는 것 코드 작성 후 테스트를 진행하는 지금까지 사용된 일반적인 방식과 다소 차이가 있다. 애자일 개발 방식 중 하나이며 코드 설계시 원하는 단계적 목표에 대해 설정하여 진행하고자 하는 것에 대한 결정 방향의 갭을 줄이고자 한다 최초 목표에 맞춘 테스트를 구축하여 그에 맞게 코드를 설계하기 때문에 보다 적은 의견 충돌을 기대할 수 있다. (방향 일치로 인한 피드백과 진행 방향의 충돌 방지) 테스트 코드 작성 목적 코드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기능을 추가하거나 변경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Side-Effect를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A를 수정..
계기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행정구역 API 를 접근하여 데이터를 DB에 넣는 작업을 하다가 @PostConstruct을 통해서 데이터를 초기에 넣도록 작업을 진행하다가... CommandLineRunner 와 ApplicationRunner를 알게 되어 정리하게 되었다. @Postconstruct & @PreDestroy 우선 스프링 빈의 이벤트 사이클은 아래와 같이 구성된다. 스프링 컨테이너 생성 -> 스프링 빈 생성 -> 의존관계 주입 -> 초기화 콜백 -> 사용 -> 소멸 전 콜백 -> 스프링 종료 스프링은 의존관계 주입이 완료가 되면 스프링 빈에게 콜백 메서드를 통해서 초기화 시점을 알려주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며 또한 컨테이너가 종료되기 직전에 소멸 콜백을 준다. 따라서 해당 과정을 통해서 안전..

OSIV OSIV(Open Session In View)는 JPA(Java Persistence API)와 Hibernate에서 사용되는 중요한 개념이다. 이 패턴은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데이터베이스와의 세션을 뷰까지 열어두는 방식을 말한다. 이를 통해, 데이터베이스 세션과 영속성 컨텍스트가 HTTP 요청이 시작될 때 열리고, 응답이 완료될 때까지 지속된다. JPA에서는 OEIV(Open EntityManager In View), 하이버네이트에선 OSIV(Open Session In View)라고 한다. 하지만 관례상 둘 다 OSIV로 부른다. 스프링에서는 OSIV가 기본적으로 켜져있다. (spring.jpa.open-in-view : true ) 따라서 기본값을 뿌리면서 애플리케이션 시작 시점에 warn..